맨위로가기

강철 동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철 동굴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SF 소설로, 인류가 우주 식민지를 건설한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지구는 인구 과잉으로 거대한 강철 돔으로 덮여 있고, 로봇 사용이 제한된 반면, 우주 식민지인 '스페이서'들은 로봇을 활용하며 풍요로운 삶을 누린다. 소설은 지구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스페이서와 협력하는 형사 일라이자 베일리의 이야기를 다루며, 지구인과 스페이서 간의 갈등, 로봇 공학의 윤리적 문제,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한다. 이 소설은 BBC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라디오 드라마, 게임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소설 - 두 개의 탑
    두 개의 탑은 J.R.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의 두 번째 권으로, 오르상크와 미나스 모르굴을 의미하며, 얽혀 있는 서사 구조와 헬름 협곡 전투 묘사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954년 소설 - 나는 전설이다 (소설)
    리처드 매드슨의 소설 《나는 전설이다》는 전염병으로 뱀파이어가 된 인류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로버트 네빌의 이야기를 그린 뱀파이어 SF 종말 소설로, 고독, 소외, 생존, 인간성, 가치관의 역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좀비 소설 장르와 영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여러 차례 영화화되었다.
강철 동굴 - [서적]에 관한 문서

2. 배경 설정

인류가 다른 행성에 정착한 후 오랜 세월이 지나 지구인이 역차별을 받는 사회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지구인은 철 구조물로 이루어진 지하도시에서 살며 외부로 나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로봇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3] 이 시대의 뉴욕은 현재의 뉴욕시뿐만 아니라 뉴저지의 넓은 지역까지 포함하며, 거대한 금속 돔으로 덮인 광대한 도시 단지이다.[3] 사람들은 지하철이 쇼핑몰과 아파트 단지와 연결되어 있어 돔 밖으로 나가지 않고, 대부분 극심한 광장공포증을 겪는다.[3]

한편, "스페이서 세계"로 알려진 50개의 행성은 부유하고 인구 밀도가 낮으며, 로봇 노동력을 널리 사용한다. 지구인구 과잉으로 80억 명에 달하며, 로봇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존재한다. 소설에서 아시모프는 극도로 많은 인구와 부를 추구하며 출산을 제한하여 엄청난 부와 사생활을 누리는 스페이서들이 있는 암울한 지구의 상황을 묘사한다.

세계 각지의 강철 돔 도시 안에서 80억의 인구가 북적이는 지구는, 한때 우주로 식민한 사람들의 자손이며 강력한 군사력과 로봇으로 풍요로운 경제를 자랑하는 스페이서(우주인)의 사실상 지배하에 있었다.

3. 등장인물

소설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등장 순서이름설명
1일라이자 "라이제" 베일리지구에서 일하는 사복 경찰관. 살인 사건 해결을 지시받는다.
2빈스 배럿R. 새미에게 일자리를 빼앗긴 젊은이.
3R. 새미경찰서에 배정된 로봇.
4줄리어스 엔더비베일리에게 살인 사건을 맡긴 뉴욕시 경찰청장.
5제저벨 "제시" 네보드니 베일리베일리의 아내.
6로이 네메누 사튼블래스터로 살해된 스페이서 로봇공학자. 베일리는 그의 죽음을 조사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7R. 다니엘 올리보베일리의 파트너, 사튼을 본떠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8벤틀리 베일리베일리의 아들.
9한 파스톨프오로라 출신의 로봇공학자. 스페이서와 지구 거주민들이 협력하여 은하계를 식민지화하고 미래에 살아남아야 한다고 믿는다.
10앤서니 게리겔 박사베일리가 찾는 워싱턴의 로봇공학자.
11프랜시스 클라우사르2년 전 로봇에 대한 폭동을 선동하여 체포된 뉴요커. 다니엘은 그가 두 사건에 모두 있었다고 확인한다.



뉴욕시 경찰 형사 일라이자 베일리는 친구인 총감 엔터비로부터 스페이스 타운에서 발생한 스페이서 과학자 로이 네메누 사턴 박사 살인 사건을 수사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이 사건은 지구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중대한 사건이었다. 스페이서는 수사 조건으로 스페이서제 로봇인 R. 다니엘 올리보를 수사에 참여시킬 것을 요구하는데, 다닐은 사턴 박사와 똑같이 만들어진 휴머노이드 로봇이었다.

베일리는 다닐과 함께 사건을 조사하면서, 스페이서 측의 음모와 다닐마저 의심하게 된다. 그러던 중 베일리는 지구 인류의 미래를 생각하게 되고, 아내 제시가 반스페이서 조직원이라는 비밀을 알게 된다. 또한 경찰서 내에서 다른 사건이 발생하고, 베일리는 누명을 쓰고 궁지에 몰리게 된다.

3. 1. 주요 등장인물


  • '''일라이자 "라이제" 베일리''': 지구에서 일하는 사복 경찰관으로, 살인 사건 해결을 지시받는다.
  • '''빈스 배럿''': R. 새미에게 일자리를 빼앗긴 젊은이이다.
  • '''R. 새미''': 경찰서에 배정된 로봇이다.
  • '''줄리어스 엔더비''': 베일리에게 살인 사건을 맡긴 뉴욕시 경찰청장이다.
  • '''제저벨 "제시" 네보드니 베일리''': 베일리의 아내이다.
  • '''로이 네메누 사튼''': 블래스터로 살해된 스페이서 로봇공학자이다. 베일리는 그의 죽음을 조사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 '''R. 다니엘 올리보''': 베일리의 파트너이자, 사튼을 본떠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 '''벤틀리 베일리''': 베일리의 아들이다.
  • '''한 파스톨프''': 오로라 출신의 로봇공학자이다. 그는 스페이서와 지구 거주민들이 함께 협력하여 은하계를 식민지화하고 미래에 살아남아야 한다고 믿는다.
  • '''앤서니 게리겔 박사''': 베일리가 찾는 워싱턴의 로봇공학자이다.
  • '''프랜시스 클라우사르''': 2년 전 로봇에 대한 폭동을 선동하여 체포된 뉴요커이다. 다니엘은 그가 두 사건에 모두 있었다고 확인한다.

3. 2. 기타 등장인물


  • 빈스 배럿: R. 새미에게 일자리를 빼앗긴 젊은이이다.
  • R. 새미: 경찰서에 배정된 로봇이다.
  • 줄리어스 엔더비: 베일리에게 살인 사건을 맡긴 뉴욕시 경찰청장이다.
  • 제저벨 "제시" 네보드니 베일리: 베일리의 아내이다.
  • 벤틀리 베일리: 베일리의 아들이다.
  • 한 파스톨프: 오로라 출신의 로봇공학자이다. 그는 스페이서와 지구 거주민들이 함께 협력하여 은하계를 식민지화하고 미래에 살아남아야 한다고 믿는다.
  • 앤서니 게리겔 박사: 베일리가 찾는 워싱턴의 로봇공학자이다.
  • 프랜시스 클라우사르: 2년 전 로봇에 대한 폭동을 선동하여 체포된 뉴요커이다. 다니엘은 그가 두 사건에 모두 있었다고 확인한다.

4. 줄거리

뉴욕시 경찰 형사 일라이자 베일리는 친구이자 상관인 엔터비 총감으로부터 스페이서 과학자 로이 네메누 사턴 박사가 살해된 사건을 수사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이 사건은 지구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중대한 사건이었다. 스페이서는 수사를 지구 측에 위임하는 조건으로, 스페이서제 로봇 R. 다닐 올리보를 수사에 참여시킨다. 베일리는 다닐이 인간과 똑같이 생긴 휴먼 폼 로봇이라는 사실에 놀라면서도 함께 수사를 진행한다.

베일리는 다닐로부터 사건의 자세한 경위를 듣는다. 사턴 박사는 이른 아침에 가슴을 열선총으로 관통당해 사망했지만 흉기는 발견되지 않았다. 스페이스 타운에 있던 모든 스페이서와 유일한 지구인 용의자였던 엔터비는 뇌 분석 결과 살인을 저지를 수 없는 정신 구조를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스페이서에게 반감을 가진 다른 지구인이 야외를 통해 스페이스 타운에 침입하여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도시 내 폐쇄 공간에 익숙한 지구인에게 야외 활동은 매우 어렵다. 로봇은 야외 활동이 가능하지만, 로봇 공학 삼원칙에 얽매여 살인을 저지를 수 없다.

베일리는 스페이서 측의 음모와 다닐마저 의심하며 어려운 수사를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지구 인류의 미래를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베일리의 아내 제시가 반(反) 스페이서 조직과 관련되었다는 비밀이 밝혀지고, 경찰서 내에서 두 번째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베일리는 누명을 쓰고 궁지에 몰린다.

마침내 베일리는 의외의 진범과 범행 방법을 밝혀내지만, 그와 동시에 지구의 미래를 위해 중대한 결단을 내리게 된다.

5. 주제


  • 본 작품의 기본 설정(우주 이민의 후손인 스페이서에 의해 지구인이 지구에 봉쇄되어 있다는 설정)은 아이작 아시모프1949년에 쓴 단편 『어머니 지구』(아시모프 초기 작품집3 어머니 지구 수록)가 원형이 되었다.
  • 본 작품은 갤럭 시지 편집장 호러스 골드의 제안으로 쓰였다. 아시모프는 로봇 장편 소설 집필에 부정적이었지만, 골드의 "로봇 탐정을 주인공으로 한 살인 미스터리" 제안을 인간 형사와 로봇 콤비 형태로 변경하여 집필했다.
  • 주인공 엘리야 베일리와 아내 제제벨(제시)의 이름은 각각 구약성서의 예언자 엘리야와 그를 박해한 고대 이스라엘 왕비 이세벨의 영어 이름에서 따왔다. 작중에서도 구약성서의 에피소드가 언급되며, 이는 제시의 행동에 대한 중요한 복선이 된다. 일라이자의 입버릇인 "요샤파트(Jehoshaphat)!"는 유다 왕국의 왕 여호사밧에서 유래한다(원래 의미는 "신의 심판"). 다니엘은 "다니엘"의 말장난이며, 느부갓네살 2세를 섬긴 현자이자 재판의 수호성인다니엘을 모티브로 했을 가능성이 있다.
  • 작중에 등장하는 지구의 저명한 로봇 공학자 줄리겔 박사가 심한 비행기 혐오증 때문에 워싱턴 D.C.에서 뉴욕까지 자동 보도(익스프레스 웨이)로 왔다는 에피소드는 아시모프 자신의 비행기 혐오증에서 기인한다. 또한 모든 지구인이 외부 세계와 격리된 강철 돔 안에서 살고 있다는 설정은 아시모프 자신의 폐쇄 공간 애호벽을 반영한 것이다.

5. 1. 로봇 공학과 윤리

아이작 아시모프는 이 소설에서 로봇 공학의 발전, 특히 인간형 로봇의 등장이 가져올 윤리적 문제들을 다룬다. 인간과 로봇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제기한다.[3]

소설의 중심에는 살인 사건이 있다. 스페이서 대사인 로이 네메누 사톤이 광선총에 맞아 사망하고, 뉴욕 경찰 엘리야 베일리는 인간과 똑같이 생긴 로봇 R. 데니얼 올리보와 함께 사건을 수사한다. 이 과정에서 베일리는 로봇에 대한 인간의 적대감과 공존 가능성을 탐구하게 된다.

스페이서들은 인구 감소와 과도한 수명 연장으로 인해 문화가 정체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지구인들이 우주 탐험과 식민지화를 하도록 장려하려 한다. 이를 위해 지구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소개하려 하지만, 지구인들은 로봇에 대한 비이성적인 적대감을 가지고 있다. 베일리는 스페이서들의 계획에 동참하게 되지만, 동시에 로봇 반대 단체인 중세주의자들의 음모를 파헤치게 된다.

소설은 로봇과 인간의 관계, 기술 발전의 윤리적 문제, 그리고 인간 사회의 미래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독자들에게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5. 2. 인구 과잉과 자원 문제

아이작 아시모프는 이 소설에서 지구의 미래 모습을 그린다. 초광속 여행이 발견되고 지구와 가까운 몇몇 세계가 식민화된 지 약 3천 년 후, "스페이서 세계"라고 불리는 50개의 행성이 등장한다. 스페이서 세계는 부유하고 인구 밀도가 낮으며, 로봇 노동력을 널리 사용한다. 반면, 지구인구 과잉으로 80억 명에 달하며, 이는 아시모프가 살았던 1950년대보다 3배나 많은 인구이다. 지구에는 로봇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존재한다.[3]

아시모프는 소설에서 극도로 많은 인구와 부를 추구하며 출산을 제한하여 엄청난 부와 사생활을 누리는 스페이서들이 있는 암울한 지구의 상황을 묘사한다. 그는 폐쇄공포증을 좋아했으며, 모든 사람이 지하 도시에 살면서 야외를 피하는 세계를 묘사했다.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을 악몽이라고 생각했지만, 아시모프는 오히려 이를 편안하게 여겼다.[3]

"강철 동굴"은 각각 수천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금속 돔으로 덮인 광대한 도시 단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대의 뉴욕은 현재의 뉴욕시뿐만 아니라 뉴저지의 넓은 지역까지 포함한다. 아시모프는 현재의 지하철이 쇼핑몰과 아파트 단지와 연결되어 아무도 돔 밖으로 나가지 않고 대부분의 인구가 극심한 광장공포증을 겪는 상황을 상상한다.[3]

5. 3. 차별과 편견

지구인과 스페이서 간의 갈등은 인간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차별과 편견을 상징한다. 스페이서는 부유하고 인구 밀도가 낮으며 로봇 노동력을 널리 사용하는 반면, 지구는 인구 과잉으로 고통받고 로봇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존재한다.[3] 이러한 환경의 차이는 지구인들이 스페이서와 로봇에 대해 비이성적인 적대감을 가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스페이서의 한 파벌은 스페이서 문화가 쇠퇴하고 있다고 깨닫고, 지구인들의 우주 탐험과 식민지화를 장려하기 위해 로봇과의 협력을 추진한다. 그러나 지구인들은 로봇에 대한 혐오감을 극복해야만 했다. 작중에서 주인공 엘리야 베일리는 로봇인 R. 데니얼 올리보를 처음에는 불신하지만, 함께 살인 사건을 조사하면서 점차 그에게 마음을 열게 된다. 이는 서로 다른 존재에 대한 이해와 협력이 편견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 4.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

로봇 기술의 발전은 사회 구조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술 발전은 인간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쳐 사회적 갈등을 일으켰다.[3]

지구인구 과잉으로 80억 명의 인구가 살고 있으며, 로봇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존재했다. 반면, "스페이서 세계"로 알려진 50개의 행성은 부유하고 인구 밀도가 낮았으며, 로봇 노동력을 널리 사용했다.[3]

이러한 상황에서 스페이서들은 로봇과 협력하여 지구인들의 우주 탐험과 식민지화를 장려하고자 했다. 그러나 지구인들은 로봇에 대한 비이성적인 적대감을 극복해야 했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들은 지구에 거주지를 설립하여 휴머노이드 로봇을 지구에 소개하려 했다.[3]

엘리야 베일리는 로봇 R. 데니얼 올리보와 협력하여 살인 사건을 조사하면서 이러한 사회적 갈등을 겪게 된다. 베일리는 결국 살인 사건의 배후에 로봇 반대 단체인 중세주의자들이 있음을 알게 된다. 중세주의자들은 '강철 동굴'에서 인간이 살지 않던 '옛날'을 갈망하며 로봇 기술 발전에 반대했다.[3]

6. 각색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 《강철 동굴》은 여러 차례 각색되었다. 1964년 BBC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되었고, 1989년에는 BBC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1988년에는 코닥에서 소설을 기반으로 한 VCR 게임을 제작했다. 2016년에는 영화 제작이 결정되어 아키바 골드스먼이 제작자로 고용되었다.[9]

6. 1. 텔레비전 드라마 (1964)

BBC는 1964년에 《강철 동굴》을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했다. 엘리야 베일리 역에는 피터 쿠싱이, R. 데니얼 올리바 역에는 존 카슨이 출연했다.[10] 이 각색은 SF 애호가이자 ''스토리 퍼레이드'' 스토리 편집자였던 아이린 슈빅의 아이디어였다. 각색은 테리 네이션이 맡았다.

각본은 대체로 소설 줄거리를 따랐지만, 결말 부분에서 주요한 변경이 있었다. TV 버전에서는 살인자가 자신의 정체가 드러나자 자살했지만, 소설에서는 중세주의자들에게 자신의 방식을 바꾸도록 설득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동의한다. 또 다른 변경점은 TV 버전에서 로봇 공학자 게리겔 박사가 여성 캐릭터라는 점이다.[10]

''강철 동굴''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이 작품이 "SF가 흥미롭고, 메시지를 전달하며, 지적으로 자극적일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고 평했고, ''리스너''는 이 작품을 ''스토리 퍼레이드'' 시리즈 중 최고로 꼽으며 "SF와 추리소설의 매혹적인 혼합으로 놀랍도록 잘 진행되었다"고 평가했다.[10]

당시 관행에 따라, ''강철 동굴''의 마스터 비디오테이프는 방송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삭제되었고, 현재는 몇 개의 짧은 발췌문만 남아있다.[10]

'''BBC 2 각색의 출연진:'''

배역배우
엘리야 베일리피터 쿠싱
R 데니얼 올리바존 카슨
줄리어스 엔더비 위원케네스 J. 워렌
한 파스톨프 박사존 웬트워스
제시 베일리엘렌 맥킨토시
R 새미이안 트리거
심슨스탠리 월시
프랜시스 클루사르존 보이드-브렌트
게리겔 박사나오미 챈스
벤틀리 베일리헤니 스콧
컨트롤러리처드 빌
상점 관리자리처드 베인트
고객패시 스마트


6. 2. 라디오 드라마 (1989)

1989년 BBC 라디오 4는 버트 코울스가 각색하고 매튜 월터스가 연출한 라디오 드라마를 방송했다. 엘리야 베일리 역은 에드 비숍이, R. 데니얼 올리보 역은 샘 다스터가 맡았다.[9]

'''BBC 라디오 4 각색 출연진:'''

배역배우
엘리야 베일리에드 비숍
R. 데니얼 올리보샘 다스터
줄리어스 엔더비 국장맷 짐머만
한 파스톨프 박사크리스토퍼 굿
제시 베일리베스 포터
R. 새미이안 미치
심슨빈센트 브림블
프란시스 클루서엘리자베스 맨스필드
가게 주인브라이언 밀러
벤틀리 베일리보리스 헝커
도시 아나운서수잔 셰리던


6. 3. 게임 (1988)

1988년, 코닥은 소설 《강철 동굴》을 바탕으로 한 45분 분량의 영화가 포함된 VCR 게임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Isaac Asimov's Robots)"을 제작했다. 이 게임은 소설의 많은 등장인물과 배경을 특징으로 했지만, VCR 게임의 요구 사항에 맞춰 줄거리가 변경되었다. 《새벽의 로봇》의 요소(등장인물 기스카드 레벤톨로프와 켈든 아마디로 포함)도 통합되었다. BBC2 버전과 유사하게, 게리겔 박사는 《로봇과 제국》의 관련 없는 등장인물인 소피아 퀸타나로 대체되었다.[9]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출연진:'''

배우역할
밸러리 페티포드뉴스 캐스터
[https://www.imdb.com/name/nm0746607/ 스티븐 로]엘리야 베일리
리처드 레빈R. 새미
래리 블록율리우스 엔더비 국장
브렌트 배럿R. 데니얼 올리보
존 헨리 콕스한 파스톨프 박사
에릭 툴R. 기스카드 레벤톨로프 및 R. 보그라프
조지 메리트켈든 아마디로
다리 로렌스소피아 퀸타나
데브라 조 럽R. 제인
엘레니 켈라코스바실리아 파스톨프


참조

[1] 웹사이트 Publication Listing http://www.isfdb.org[...] 2013-11-02
[2] 논문 Books Published Today 1954-02-04
[3] 서적 Nightfall, and other storie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69
[4] 간행물 Galaxy's 5 Star Shelf Galaxy Science Fiction 1954-07
[5] 간행물 Recommended Reading The Magazine of Fantasy & Science Fiction 1954-05
[6] 간행물 The Reference Library Analog Science Fiction and Fact 1954-11
[7] 논문 Spacers 1954-03-07
[8] 웹사이트 1954 Retro-Hugo Awards http://www.thehugoaw[...] 2016-04-24
[9] 뉴스 Akiva Goldsman Writing ‘Caves of Steel’ Sci-Fi Movie for Fox (EXCLUSIVE) https://variety.com/[...] variety.com
[10] 웹사이트 Story Parade: The Caves of Steel – Press Coverage http://www.625.org.u[...] 2007-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